본문 바로가기

거시, 미시 경제학16

시장의 효율성 효율성과 잉여 (파레토)효율성 :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이전보다 더 낫게 만드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 시장은 효율적이기 때문에 S와 D가 만나는 점에서 최대 총잉여(소비자 잉여+생산자 잉여)를 만든다 반대로 특정한 개입이 생겨 초과공급이나 초과수요가 발생하면 손실이 발생한다. 예로 위의 표를 참고하면 개입이 발생하여 가격이 2000원이 된 경우와 가격이 4000원이 된 경우다 2000원이 된 경우에는 소비자 잉여는 증가할수도 있지만 생산자 잉여와 총잉여가 감소한다. 4000원이 된 경우에는 생산자 잉여는 증가할수도 있지만 소비자 잉여와 총잉여는 감소한다. (파란색은 생산자잉여, 붉은색은 소비자잉여) 가격상한과 가격보조 가격상한과 가격보조는 대표적인 개입의 예이다. 첫 그림은 가경상한의 예.. 2023. 8. 30.
완전경쟁시장의 공급 완전경쟁시장이란? 1)다수의 소비자와 기업이 존재(가격수용자) 가격은 주어진 것이다. 2)동질의 재화를 판매(완전대체제) 오로지 가격으로만 경쟁한다. (가격만 관심) 3)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4)완전 정보(정보비대칭 x) 다른 시장(독점, 과점)과 비교되는 기본이 되는 시장으로 의의가 있다. 전체 시장 곡선은 일반 적인 수용공급곡선을 따르지만 개별기업수요곡선의 경우는 가격은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개별 기업의 가격은 P0에서 고정된다. (사실 고정은 아니지만 기업은 믿는다.) 이윤극대화 완전경쟁시장의 이윤식은 아래와 같다. π = P0 x Q - C(Q) (P0는 고정이다.) 한계편익=한계비용 인데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가격고정이라 한계비용은 P0다 (P0=mc) 1)P0>MC면 한 단위 더 증가시키면 P0-.. 2023. 8. 23.
거시경제학 4. 노동시장 노동시장의 구성 수요 - 공급 분석을 노동시장에 적용. 노동의 가격(임금)과 수량(고용) 결정분석 노동 수요 및 수요곡선 1)생산물가격상승 2)생산성 증가 W> P x MPL 인 경우 고용. W=임금 MPL(marginal product) = 노동의 한계생산(추가 생산물 단위) VMP(value marginal product) = 한계생산가치(한명이 창출한 추가 수입) = P x MPL 임금의 변화는 곡선 상의 변화 생산물가격상승과 생산성상승은 곡선의 이동을 초래한다. 노동 공급 및 공급곡선 1)생산연령인구의 규모 2)경제활동참가율 (생산연령인구 중 일하려는 비율) 임금의 변화는 곡선 상의 변화. 생산연령 인구 증가 및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는 곡선의 이동. 공급과 수요의 변화 무역개방에 의한 우위상품 숙련.. 2023. 8. 23.
거시경제학 3. 경제성장 경제성장의 이해 Y=실질 GDP N = 취업자수 POP =총인구 L =경제활동인구 일인당 GDP는 아래의 경우 증가한다. 근로자 일인당 총생산 (Y/N)이 증가할 때 총인구 중 취업자 비율(N/POP)이 증가 시 국가 경제 전체의 생산함수는 Y=AF(K,L) 이다 Y: 국민소득, K:자본, L:노동 A:총요소생산성 1960~2000까지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보면 자본의 기여분이 2% 노동의 기여분이 2%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분이 2%다. 미래에는 자본과 노동의 기여분이 떨어져 총요소 생산성의 기여가 더 중요시 된다. 경제성장의 제고 1. 인적자본 증대를 통한 성장 제고 교육은 수확체감이 적고 외부성이 커서 무료 공교육이 효과적이다. (비용대비 사회 편익이 더 크다.) 2. 물적자본 (저축과 투자) 증대를 통.. 202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