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 미시 경제학

거시경제학 4. 노동시장

by 경제노리 2023. 8. 23.
노동시장의 구성

수요 - 공급 분석을 노동시장에 적용.

노동의 가격(임금)과 수량(고용) 결정분석

 

 

 

노동 수요 및 수요곡선

<노동 수요의 영향 요인>

1)생산물가격상승

2)생산성 증가

 

W> P x MPL 인 경우 고용.

 

<용어 설명>

 

W=임금

 

MPL(marginal product)

= 노동의 한계생산(추가 생산물 단위)

 

VMP(value marginal product)

= 한계생산가치(한명이 창출한 추가 수입)

= P x MPL

 

 

 

 

임금의 변화는 곡선 상의 변화

생산물가격상승과 생산성상승은

곡선의 이동을 초래한다.

 

 

노동 공급 및 공급곡선

<노동 공급의 결정요인>

1)생산연령인구의 규모

2)경제활동참가율

(생산연령인구 중 일하려는 비율)

 

 

임금의 변화는 곡선 상의 변화.

 

생산연령 인구 증가 및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는

곡선의 이동.

 

 

 

공급과 수요의 변화

무역개방에 의한 우위상품

숙련노동자의 등장은

수요곡선을 우측으로 이동한다.

 

반면 무역개방에 의한 열위상품

미숙련 근로자의 등장은

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한다.

 

 

실업 보조금은 노동 시장을 왜곡한다.

N 과 W에서 고용과 임금이 정해져야 하나

A와 Wmin에서 정해지기 때문에

S축과 D축의 차이만큼이

실업자가 발생하게 된다.

 

 

이상으로

거시경제학 4. 노동시장

포스팅을 마칩니다.

'거시, 미시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의 효율성  (0) 2023.08.30
완전경쟁시장의 공급  (1) 2023.08.23
거시경제학 3. 경제성장  (0) 2023.08.08
미시경제학 (6. 생산과 비용)  (1) 2023.08.02
거시경제학 (2. 물가 , 인플레이션)  (0) 202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