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 미시 경제학16 미시경제학 4. 탄력성 수요의 가격 탄력성 정의 : 한 재화의 수요가 가격의 변화에 대하서 어떻게 반응하는가. 수요의 가격 탄력성 =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단순하게 △y/△x = (y1-y0) / (x1-x0) 면 직관적이겠지만 단위의 변화문제로 사용을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같은 양이어도 리터냐 데시리터냐 혹은 톤이냐 등에 따라 그래프의 기울기는 급격하게 바뀐다. 따라서 (△y/ y0) / (△x/x0) = △y/△x 곱하기 x0/y0 로 표현한다. (즉, % / %) 이로써 단위로부터 자유로워진다. 탄력의 정도 1)탄력적 : 탄력성이 1보다 큰 경우 2)비탄력적 : 탄력서이 1보다 작은 경우 3)단위 탄력적 : 탄력성이 1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 요인 1)대체제의 가능성 : 대체제가 존재하면 가격 탄력.. 2023. 5. 31. 미시경제학 3.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저량, 유량) 가격의 결정 1. 마르크스 : '생산비용이 가격을 결정한다' 예술품에 대한 설명이 어려움 2. 스탠리 제본스 : '창출되는 가치가 가격을 결정한다.' 물같은 필수재와 금 같은 사치재가 설명 안됨 3. 앨프래드 마샬 : '비용과 가치의 상호자용'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수요 공금 모형 확립 저량과 유량 저량 변수: 특정 시점에서의 정의 유량 변수: 일정 가긴에서의 정의 ex) 아침에 사과 4개. (저량), 저녁에 사과 3개 (저량) 아침부터 저녁까지 사과 1개 소비 (유량) 경제학 곡선의 특이점 대부분의 수학 상 곡선은 X를 기준으로 Y를 맞추는 반면 경제학의 곡선은 Y를 기준으로 X를 맞추는 경우가 잦다. (가격이~일 때 수량이 ~ ) 수요곡선 모형과 법칙 다른 조건이 일정할 떄 수요량과 가격의 관.. 2023. 5. 24. 생산가능곡선과 비교우위 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possibility curve. PPC) 주어진 자원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재화들의 조합 쌀 가죽 A 1kg 4kg B 4kg 1kg A와 B가 4시간을 일하는 경우 위표의 생산가능곡선은 아래와 같다. 비교우위 각자의 기회비용이 다른 경우. 기회비용(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비용)이 낮은 쪽이 그 재화에 대해서 비교우위를 갖는다. (참고:각자 남보다 잘하는 분야가 존재하면 절대우위) 비교우위의 원리 : 절대우위가 아닌 비교우위를 가진 재화를 생산해서 교환하면 상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쌀 가죽 A 4kg 4kg B 1kg 2kg 이 경우 A는 모든 분야에서 B보다 우수하다. 하지만 기회비용의 측면으로 보면 A는 가죽1k를 생산하려면 쌀1k를 기회비용으로 날리지만 B는 가죽.. 2023. 4. 20. 미시경제학 1.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버냉키 프랭크 경제학) 경제학이란? 무한한 인간의 욕구 vs 유한한 자원에 의한 문제 발생 ex) 새 손님(무한한 욕구)이 오면 방(유한한 자원)을 비워줘야 함 상충관계 :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하나를 선택할 때 다른 하나는 포기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욕구는 무한하지만 자원은 유한하기 때문이다. (희소성의 원리) -덧- 이는 최근의 디지털 이나 지식 경제와는 다소 모순되는 면이 존재한다. 기본적인 경제 문제 1)무엇을 생산하여야 하는가? 내가 다 하는 것은 비효율 적이다. (꼭 해야만 하는거 더 잘하는 거를 하면 된다.) 2)어떻게 생산하여야 하는가? 여러 가지 기술이 존재하며 설혹 동일한 기술이 사용되어도 다른 여러 생산요소와 결합하여 다양한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이때 경제적인 사람은 가장 최소한의 비용으로 생산을 한다.. 2023. 4. 1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