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 미시 경제학

거시경제학 3. 경제성장

by 경제노리 2023. 8. 8.
경제성장의 이해

<일인당 실질 GDP>

 

Y=실질 GDP  N = 취업자수

POP =총인구 L =경제활동인구 

일인당 GDP는 아래의 경우 증가한다.

근로자 일인당 총생산 (Y/N)이 증가할 때

총인구 중 취업자 비율(N/POP)이 증가 시

 

 

 

<성장 회계>

 

국가 경제 전체의 생산함수는

Y=AF(K,L) 이다

Y: 국민소득, K:자본, L:노동 A:총요소생산성

1960~2000까지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보면

자본의 기여분이 2% 노동의 기여분이 2%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분이 2%다.

미래에는 자본과 노동의 기여분이 떨어져

총요소 생산성의 기여가 더 중요시 된다.

 

경제성장의 제고

1. 인적자본 증대를 통한 성장 제고

교육은 수확체감이 적고 외부성이 커서

무료 공교육이 효과적이다.

(비용대비 사회 편익이 더 크다.)

 

2. 물적자본 (저축과 투자) 증대를 통한 성장 제고

 

3.연구개발 지원정책을 통한 경제성장 제고

 

4. 토지와 천연자원에 의한 성장 제고

 

 

이상으로

거시경제학 3. 경제성장

포스팅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