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 미시 경제학16 통화, 화폐, 물가, 중앙은행 예금과 통화창출 통화창출 = 10%의 지급준비율에서 1원은 10원의 예금을 만든다. 은행 지급준비금 / 은행예금 = 희망 지급준비율 은행예금 = 은행 지급준비금 / 희망 지급준비율 ex)1) 은행의 지급준비금 500억, 지급준비율 0.2 민간의 현금 보유 500억 통화량 = 500 + (500/0.20) = 3000억 2)추석에 소비자들이 은행에서 100억을 뺐다 통화량 = 600 + (400 / 0.2 ) = 2600 은행 예금의 감소는 통화량을 감소시킨다. 중앙은행과 공개시장 조작 중앙은행 : 한국은행 중앙은행의 임무 : 통화정책, 금융시장의 감시와 규제 중앙은행이 민간으로부터 채권을 매입할 경우 채권보유자에게 새로 화폐 지급 (통화량 확대) 중앙은행이 민간에 채권 매각할 경우- 채권보유자는 예금으로.. 2023. 10. 11. 거시경제학 5. 저축과 자본 저축, 부, 자본의 정의 저축 = 현재소득에서 현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출한 금액을 뺀 것. (저축률 = 저축 / 소득) 부 = 자산 - 부채 자본이득 : 기존 자산의 가치의 증가 자본손실 : 기존 자산가치의 감소 국민저축 (1) Y = C + I + G + NX 단순화를 위해 NX=0 사회 가정(폐쇄경제) 즉, Y=C+I+G S (국민저축 ) = 현재의 소득에서 현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출을 뺀 것. 현재 소득 = Y 현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지출 = C , G 투자지출 (I) = 제외 즉, S = Y - C - G - 참고 - Y= 총소득, 국민소득 C= 소비지출 G=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정부구매 I=투자지출 NX=순수출 S=국민저축 민간저축(S민간) 민간저축(S민간) = 가계저축 + .. 2023. 10. 4. 미시 10강. 외부효과와 사유재산 각종 정의 (1) 외부 효과 : 당사자가 아닌 타인에게 의도하지 않은 편익 또는 비용을 제공 1)외부경제(양의 외부효과): 의도치 않은 편익 2)외부불경제(음의 외부효과): 의도하지 않은 비용 (2)자원배분에 미치는 효과 1)사회적 한계편익(SMB) 사적 한계편익(PMB)에 외부경제를 더한 것 2) 사회적 한계비용(SMC) 사적 한계편익(PMC)에 외부경제를 더한 것 외부 불경제와 외부 경제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는데 오염 때문에 제품 한 단위당 XC=1000의 외부 불경제가 발생한다 가정해보자. 이때 기업의 사적 한계편익(PMC)은 2000,1000 에서 형성된다. 하지만 SMC는 XC를 포함하기 때문에 SMC=PMC+XC가 되고 따라서 SMC 곡선은 위로 1000 올라간다. 이때 사회적 최적 수량은 (.. 2023. 9. 20. 미시경제학 9. 독점 시장 독점이란? 유사한 대체재가 없는 제품을 유일한 생산자가 생산하는 시장 구조 ex)국내 전화 KT, 한전 등 자신의 제품 가격이 곳 시장 가격이므로 독점에서의 기업은 가격수용자가 아닌 가격 설정자 (price setter) 1)특허, 저작권 등 법적 보장 2)핵심 생산요소의 지배 3)정부가 직접 공급하거나 독점권 부여 ex) 담배 인삼 4)규모의 경제 (자연독점) ex)철도, 도로 수도 등 5)네트워크 외부성 많은 사람이 사용할수록 더 큰 편익을 제공 ex)한글, 워드, 카카오 등 독점기업의 수요곡선 독점은 완전경쟁시장과 달리 가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가격수용자) 가격을 스스로 결정한다. 즉, 자신의 산출량이 시장 전체의 산출량이고 산출량이 변하면 가격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독점의 수요곡선은 완전경.. 2023. 9.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