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 미시 경제학

완전경쟁시장의 공급

by 경제노리 2023. 8. 23.
완전경쟁시장이란?

 

<완전경재시장의 특성>

 

1)다수의 소비자와 기업이 존재(가격수용자)

가격은 주어진 것이다.

 

2)동질의 재화를 판매(완전대체제)

오로지 가격으로만 경쟁한다. (가격만 관심)

 

3)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4)완전 정보(정보비대칭 x)

 

다른 시장(독점, 과점)과 비교되는

기본이 되는 시장으로 의의가 있다.

 

 

<수요곡선>

전체 시장 곡선은 일반 적인

수용공급곡선을 따르지만

 

개별기업수요곡선의 경우는

가격은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개별 기업의 가격은 P0에서 고정된다.

(사실 고정은 아니지만 기업은 믿는다.)

 

 

이윤극대화

완전경쟁시장의 이윤식은 아래와 같다.

π = P0 x Q - C(Q)

(P0는 고정이다.)

 

<이윤극대화 조건>

 

한계편익=한계비용 인데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가격고정이라

한계비용은 P0다 (P0=mc)

 

1)P0>MC면 한 단위 더 증가시키면  

P0-MC만큼 이윤이 증가한다.

 

2)P0<MC 면 한 단위 더 감소시키면

MC-P0만큼 이윤이 증가한다.

 

따라서 최대 이윤을 맞추기 위해서는

P0=MC여야 한다. 

 

 

<양의이윤 극대화>

한계수입 P0 와 MC 가 만나는 지점에서

수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AC와  AVC의 사이는 AFC가 되고

고정비용은 물건 생산 개수가 늘어날수록

비용이 분산되기 때문에

AC와 AVC의 폭(AFC)은 점차 줄어든다.

 

 

 

-참고-

앞 선 포스팅에서 평균비용을 최소로 하는 지점

MC와 AC가 만나는 지점인 Q라고 했었다.

하지만 이윤극대화 산출량은 Q0이다.

 

이는 MC=AC의 의미가 방금 전 말했 듯

평균비용을 최소로 하는 지점이지 산출량은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평균생산비용의 감소와 증가만 의미한다.

 

위 표를 예로들면 Q0에서 MC가 P0이기 때문에

고정비용만 제외하면 여기까지 생산이 무조건 이득이다.

다만 고정비용이 문제가 되기에 이를 계산해 봐야 한다.

 

즉, 평균비용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판매량이 엄청늘면

고정비용 감안해도 파는 것이 더 이득이다.

 

식으로 표현하면

π = P0 x Q - C(Q) 

=P0 x Q - (AC x Q) 이기 때문에

P0xQ 의 증가량이 ACxQ의 증가량보다 더 커지는

Q의 값까지가 이윤극대화 산출량이 된다.

 

ex) 판매가10  제조가10로 10개 판매보다

판매가10  제조가6으로 15개 판매가 더 이득이다.

 

 

 

 

손해 줄이기 (음의 이윤)

위와는 달리 기업이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다.

이는 MC가 AC 위에서 P가 형성된 경우이다.

 

아래의 두 사진은 손해를 보는 2그래프인데

차이는 하나는 가격이 AVC 위에

하나는 가격이 AVC 아래에 있는 것이다.

 

가격이 AVC 위에 있는 경우

생산을 해서 위의 음의 이윤만큼을

감수하는 것이 맞다.

 

최종 개당 판매가는 평균가보다 밑이라서

팔수록 밑질 수는 있지만

이는 판매와 무관하게 무조건 나가는

고정비용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비용은 무시하고

평균가변비용만 고려하여 손해를 줄인다.

 

 

반대로 P가 AVC 밑에 있으면 

생산을 안하는 것이 이득이다.

 

 

 

 

생산 시 손실 생산안할 시 손해
π = P0 x Q C(Q) -F (고정비용)
PxQ Cv(Q)
P Cv(Q)/q = AVC(Q)
따라서   P> AVC(Q) 면 생산을 해야 한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간단한데
고정비용은 생산을 하던 안하던 
무조건 나가는 비용이기 때문에 애초에
고려해서는 안된다. 
 
생산 시 추가로 나가게 되는 비용인 AVC 와
가격 P 를 비교하는 것이 맞다.

 

 

-주의사항-

 

곡선을 그릴 때 Q인지 P인지 보고 그려야 한다.

ex)한계비용곡선 MC(Q)=q+10인 기업이 10개 존재할 경우

공급곡선을 구하라.

 

이때 바로 q+10 에 10을 곱하면 오답이다.

공급곡선은 s(p)이기 때문에 

이는 q로 정리되어야 한다.

 

mc=q+10 = p 

q=10-p

s(p)=10 x (p-10) = 10p - 100

 

 

'거시, 미시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학 9. 독점 시장  (0) 2023.09.13
시장의 효율성  (0) 2023.08.30
거시경제학 4. 노동시장  (0) 2023.08.23
거시경제학 3. 경제성장  (0) 2023.08.08
미시경제학 (6. 생산과 비용)  (1) 202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