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 미시 경제학

통화, 화폐, 물가, 중앙은행

by 경제노리 2023. 10. 11.
예금과 통화창출

통화창출 = 10%의 지급준비율에서 1원은 10원의 예금을 만든다.

은행 지급준비금 / 은행예금 = 희망 지급준비율

은행예금 = 은행 지급준비금 / 희망 지급준비율

 

ex)1) 은행의 지급준비금 500억, 지급준비율 0.2

민간의 현금 보유 500억

통화량 = 500 + (500/0.20) = 3000억

 

2)추석에 소비자들이 은행에서 100억을 뺐다

통화량 = 600 + (400 / 0.2 ) = 2600

 

은행 예금의 감소는 통화량을 감소시킨다.

 

 

중앙은행과 공개시장 조작

중앙은행 : 한국은행

중앙은행의 임무 : 통화정책, 금융시장의 감시와 규제

 

 

<공개시장 조작 (open market operations)>

중앙은행이 민간으로부터 채권을 매입할 경우

채권보유자에게 새로 화폐 지급 (통화량 확대)

중앙은행이 민간에 채권 매각할 경우-

채권보유자는 예금으로 지급 (통화량 감소)

 

 

통화승수의 계산

M= C+D = (C+D) / MB x MB = m X MB

C= 현금 D= 요구불예금

m = (C+D) / MB 

= (C+D) / (C+R) = (C/D + D/D) / (C/D + R/D) = (C/D) +1 / (C/D) + r

= (C/D) + 1 / (C/D) +rr +er

 

 

 

화폐의 유통속도 (V)

유통속도 = 거래에서 화폐가 사람들의 손을 바꾸는 속도의 측정지표

유통속도 = 명목 GDP( 1년 간, 즉 유량) / 통화량 (저량)

V = P x Y(실질 GDP) / M(통화량)

 

 ex) M1 = 841조원 

M2= 2,626조 9000억 원

명목 GDP  = 1,782 2700억 원

M1 유통속도 V = 1,782조 2700억원 / 841조원 = 2.12

M2 유통속도 V = 1782조 2700억원 / 2626조 9000억원 = 0.68

 

현금인출기, 카드 등과 같은 기술적 요인에 의해 현금보유 감소

+ 물가 인상에 따른 결제금액 확대 로 인하여 

점차 유통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통화량과 인플레이션

수량방정식은 MxV = PxY(실질 GDP)

유통속도(V)와 실질GDP(Y)가 불면이라고 가정하자

 

그럼 수량방정식은 위와 같다.

일정한 퍼센티지로 토오하량이 증가할 때

통일한 퍼센티지만큼 물가도 상승한다.

 

즉 MxV 의 % 변화율 = PxY 의 % 변화율

그리고 두 변수의 곱의 % 변화율은 각 변수의 % 변화율의 합과 같다.

(로그이용)

M의 %변화율 + V의 %변화율 = P의 %변화율 + Y의 % 변화율

 

ex) M이 매년 4% 증가하고 V가 1% 증가하면

명목 GDP (PxY)는 5% 증가한다.

'거시, 미시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학 5. 저축과 자본  (1) 2023.10.04
미시 10강. 외부효과와 사유재산  (0) 2023.09.20
미시경제학 9. 독점 시장  (0) 2023.09.13
시장의 효율성  (0) 2023.08.30
완전경쟁시장의 공급  (0) 2023.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