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 부, 자본의 정의
저축 = 현재소득에서
현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출한 금액을 뺀 것.
(저축률 = 저축 / 소득)
부 = 자산 - 부채
자본이득 : 기존 자산의 가치의 증가
자본손실 : 기존 자산가치의 감소
국민저축 (1)
<국민소득 = 총소득 식>
Y = C + I + G + NX
<국민저축(S) 계산>
단순화를 위해 NX=0 사회 가정(폐쇄경제)
즉, Y=C+I+G
S (국민저축 ) = 현재의 소득에서 현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출을 뺀 것.
현재 소득 = Y
현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지출 = C , G
투자지출 (I) = 제외
즉, S = Y - C - G
- 참고 -
Y= 총소득, 국민소득
C= 소비지출
G=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정부구매
I=투자지출 NX=순수출
S=국민저축
민간저축(S민간)
민간저축(S민간) = 가계저축 + 기업저축
가계의 총 소득은 앞서 말한대로 Y
민간저축은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를 뺀 금액
처분가능소득 = Y - T
즉, 민간저축(S민간)=Y-T-C
-참고-
T= 순조세
T= 조세 - 이전지출 - 정부의 이자지급
공공저축(S공공)
공공저축은 공공부문의 수입에서
현재의 필요를 위한 지출을 뺀 금액
공공부문소득 = T
공공부문 지출= G
즉, S공공 = T - G
국민저축 (2)
국민저축 (S) = 민간저축 + 공공저축
S민간 + S 공공 = (Y-T-C) + (T - G)
즉, S(국민저축) = Y - C - G
정부재정
균형재정은 정비지출과 순조세 수입이 같다. (T=G)
정부재정흑자는 순조세수입의 정부지출 초과분 (T-G)
정부재정적자는 정부지출의 순조세수입 초과분 (G-T)
투자 의사결정 과정
아래의 경우를 가정하자.
공장비용은 1만(감가상각은 0)
대출 이자율은 10%
순익익=1만
조세=20%
다른 곳에 일하면 세후5000 소득
1)순이익 = 1만
2)조세 = 2000(20%)
3)기회비용 = 5000
1-2-3 = 4)한계생산가치 (VMP) = 3000
5)이자 = 10% (1000)
4-5 = 6)순편익 = 2000
이 경우 순편익은 2000으로
공장을 지어야 한다.
저축, 투자, 금융시장
저축공급(S)= 실질이자율(R)에서 이루어지는 저축의 양
투자수요(I) = 각 실질이자율에서 빌려가는 저축의 양
금융시장도 다른 시장처럼 초과공급 초과수요를 가격의 변화로 조정한다.
(가격 = 실질이자율)
실질이자율 이외의 요인의 변화는 공급곡선이나 수요곡선을 이동시킨다.
(저축공급곡선, 투자수요곡선)
EX1)신기술은 자본의 한계생산을 늘리기 때문에 투자수요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투자수요곡선이 저축공급곡선을 따라 위로 이동한다.
EX2)정부의 재정적자는 국민저축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저축공급곡선이 투자수요곡선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한다.
'거시, 미시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 화폐, 물가, 중앙은행 (0) | 2023.10.11 |
---|---|
미시 10강. 외부효과와 사유재산 (0) | 2023.09.20 |
미시경제학 9. 독점 시장 (0) | 2023.09.13 |
시장의 효율성 (0) | 2023.08.30 |
완전경쟁시장의 공급 (0)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