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 미시 경제학

미시경제학 5. 수요(시장의 편익)

by 경제노리 2023. 7. 26.
효용과 한계효용의 정의

효용=소비자의 편익(↔수입:생산자의 편익)

즉, 한계효용은 한계편익의 한 경우.

 

효용함수: u(x) , x는 소비량

한계효용: mu(x), x는 소비량

 

mu(x)=u(x+1) - u(x) (=du(x)/dx)

 

 

-덧-

 

현재에는 과거와 달리

효용을 정확히 계측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기수적x)

 

따라서 현재에는 서수적 방식이 사용되나

방식은 더 복합하다.

 

 

한계효용 함수에 대한 2가지 가정

실제로는 아닐 수도 있으나 가정을 함.

 

1. 한계효용은 0보다 크다. 

즉, 소비를 증가하면

효용도 증가하는 재화를 가정.

 

2.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소비가 증가할수록 효용은 감소한다.

ex)먹다보면 배부르다.

 

 

한계효용 극대화 (효율적인 배분)

각 재화의 1원당 한계효용이 동일하도록

소득이 분배되어야 한다.

 

MU1/P1=MU2/P2 :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

여기서 미지수가 2개이기 때문에

이를 풀기 위해 식을 하나 더 추가

P1X1+P2X2=I(income) : 예산선

 

 

소비자 잉여

소비자의 유보가격과 실제로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

 

 

ex) 위와 같은 시장이 있을 경우

소비자는 200만의 잉여를 얻고 있으며

(1000 x 4000) / 2

200만까지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할 것이다.

 

 

이상으로

미시경제학 5. 수요(시장의 편익)

포스팅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