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의 결정
1. 마르크스 : '생산비용이 가격을 결정한다'
예술품에 대한 설명이 어려움
2. 스탠리 제본스 : '창출되는 가치가 가격을 결정한다.'
물같은 필수재와 금 같은 사치재가 설명 안됨
3. 앨프래드 마샬 : '비용과 가치의 상호자용'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수요 공금 모형 확립
저량과 유량
저량 변수: 특정 시점에서의 정의
유량 변수: 일정 가긴에서의 정의
ex) 아침에 사과 4개. (저량), 저녁에 사과 3개 (저량)
아침부터 저녁까지 사과 1개 소비 (유량)
경제학 곡선의 특이점
대부분의 수학 상 곡선은
X를 기준으로 Y를 맞추는 반면
경제학의 곡선은
Y를 기준으로 X를 맞추는 경우가 잦다.
(가격이~일 때 수량이 ~ )
수요곡선 모형과 법칙
다른 조건이 일정할 떄 수요량과 가격의 관계
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
이는 대체 효과와 소득 효과 때문이다.
수요곡선은 사고 싶다지
실제로 구매가 일어나는 선이 아니다.
1)대체효과 : 가격이 변할 때,
대체 관계에 있는 다른 재화로 바꾸어 수요량의 변화
2)소득효과: 한 재화의 가격 변화로 구매력이 바뀜으로써
발생하는 수요량의 변화
수요곡선의 수평적 해석과 수직적 해석
1. 수평적 해석
대부분의 수학 상 곡선은
X를 기준으로 Y를 맞춘다.
반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수요곡선의 가격 대비 수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격이~일 때 수량이 ~ )
y축을 기준으로 x축을 봐야 한다.
이를 수평적 해석이라고 한다.
개별 수요곡선을 수평으로 합치면
시장 수요곡선이 된다.
2. 수직적 해석
대부분의 수학 상 곡선처럼
X를 기준으로 Y를 맞추어
이를 수요곡선에 대입하면
수요곡선의 수직적 해석이 된다.
이는 수량이 주어졌을 때 가격을 찾는 것으로
여기서 수요곡선의 높이는
마지막 한 단위를 얻기 위한
소비자의 유보가격이자
마지막 한 단위를 소비할 때 얻는
한계편익이다.
따라서 수요곡선을 아래에서 볼 때 이를
소비자의 한계편익곡선이라고 부른다.
시장 수요곡선도 수직적으로 보면
시장 전체의 한계편익곡선이 된다.
공급곡선 모형과 법칙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공급량과 가격의 관계
공급곡선은 우상향 한다.
이는 기회비용 체증의 원리 때문이다.
즉, 한 단위 생산 증가마다 포기해야하는
기회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기회비용 체감과 반대)
(점점 신입노동자가 투입된다고 생각해보자)
공급곡선은 팔도 싶다지 실제로 파는게 아니다.
공급곡선의 수평적 해석, 수직적 해석
공급곡선도 수요곡선과 마찬가지로
수평적 해석, 수직적 해석이 있다.
1.수평적 해석
수요곡선과 마찬가지로 가격 대비 수요라는
일반적인 모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얼마일 때 공급량~)
y축을 중심으로 보아야 한다.
개별 공급곡선을 수평으로 합치면
시장 공급곡선이 된다.
2. 수직적 해석
수량이 주어졌을 때
그만큼의 수량을 생산하기 위한 가격을 찾는 것이다.
이때 공급곡선의 높이는
마지막 한 단위를 판매하기 위한
생산자의 유보가격이자
마지막 한 단위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한계비용이다.
따라서 공급곡선을 아래에서 볼 때 이를
생산자의 한계비용곡선이라고 부른다.
시장 공급곡선도 수직적으로 보면
시장 전체의 한계비용곡선이 된다.
시장균형-균형가격 (힘의 유지, 더 이상 조정 불필요)
시장이 균형에 있지 않을 때는 초과 수요와 초과 공급이 나타난다.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은 실제로 사고 파는 선이 아니지만
균형가격 (시장 균형) 하에서는 실제 거래가 가능해진다.
곡선의 이동 (수요량의 변화 와 수요의 변화)
곡선 내 이동(수요량의 변화) vs 곡선 자체의 이동(수요의 변화)
내생변수의 크기는 모형 내에서 결졍된다.
(상품가격(P)과 상품수량(Q)의 변화 등)
외생변수의 크기는 모형 밖에서 결정된다.
(총 소득(Y)과 자재가격의 변화 등)
경제모형에서는 외생변수(소득, 원자재의 가격 변화 등)의 변화에 대한
내생변수(가격 및 수량)의 균형 변화를 분석
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이유 (수요의 변화)
실제 경제에서는 다양한 요소가 가격과 수량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사과의 경우 그래프에서는 사과의 가격만 적지만
실제로는 배의 가격이나 소득 등 다른 요인도 있다.
따라서 다른 요인도 직선 등으로 표시하면 좋겠지만
현실적 한계상 2차원 으로 밖에 표시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사과의 가격을 제외한 변수는 고정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다른 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
다른 요인이 바뀌면
고정시킨 변수를 바꿔서 재고정시켜야만 한다.
즉, 수요의 증가는 곡선을 이동시킨다.
이때 다시 고정만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기울기는 전과 동일하게 정해지는 것이다.
수요 곡선의 이동 (소득증가Y에 의한 이동)
수요의 변화를 가지고 오는 요인으로는
(그래프 상에 표시한 가격 수량 외의 요인 들)
보완재 가격의 변화
대체재 가격의 변화
소득의 증가 : 정상재 vs 열등재
장래 가격의 기대 등이 있다.
공급 곡선의 이동 (재료비 상승 Ps에 따른 이동)
공급의 변화는
임금, 원재료의 가격 변화
기술의 개발,
기대감 등이 있다.
사회적 후생 과 가격 규제
소매자 잉여 : 구매자의 유보가격(지불용의) - 실제 지불 금액
공급자 잉여 : 실제 받은 금액 - 판매자의 유보가격
총 잉여 : 구매자의 유보가격 - 판매자의 유보가격
ex) 옷 한벌에 대한 구매자 유보가격5만원
판매자 유보가격 2만원, 실제 거래가 3만원의 경우
구매자 잉여 = 5 - 3 =2
판매자 잉여 = 3 - 2 =1
총 잉여 = 5 - 2 = 3
정부에서 가격을 규제하는 경우는
정말 가난한 사람들 중에
먹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야 있겠지만
공급량이 줄어 사회 총 잉여는 감소한다.
따라서 가격 제한보다는 바우처 등의 제공이
더 현명한 정책이 된다.
'거시, 미시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학 5. 수요(시장의 편익) (1) | 2023.07.26 |
---|---|
거시경제학 1. 경제활동의 측정 (GDP, 실업) (0) | 2023.07.19 |
미시경제학 4. 탄력성 (0) | 2023.05.31 |
생산가능곡선과 비교우위 (0) | 2023.04.20 |
미시경제학 1.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버냉키 프랭크 경제학)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