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현황
<미국>
미국 국채 금리 전반적 상승.
실업률 0.2% 상승했으나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견조한 흐름
단, 트럼프 관세 여파는 아직 미반영
상호관세에 따라 변동성이 높음
<중국>
중국은 디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있으나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음
미국과 마찬가지로 관세 여파 아직 미반영.
상호관세에 따라 변동성이 높음
<유럽>
보복관세를 논의하였으나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로 보류
<일본, 한국, 베트남, 인도 등.>
대다수의 국가는 미국에 보복하기 보다는
관세 협정을 논의 중.
거시경제 의견
최소한의 시장 저항선이 어디인지 확인했다는 점에서
최소한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따라
의도했던 약달러는 이루었지만
더 중요했던 국채금리가 오히려 상승하는 현상 발생.
이에 따라 트럼프 정책에 수정이 있을 듯 보이며
스테이블 코인 등 다른 우회 방안의 실현 가능성이
더 높아진 것으로 보임
투자 현황
1) 미국채 등 국채에 대한 신뢰가 깨지고
예측이 어려워 비중 축소
2) 금과 엔화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중 확대
3) 중국은 유동성공급 과 주식시장의 변동성
원자재가 하락 등이 맞물려
부동산과 건설업 쪽에서 신호가 오지 않을까 기대
4) 일본은 엔화강세와 원자개가 하락 기조가 맞물려
유틸리티 및 여행 섹터를 관찰.
5) 유럽 역시 인프라와 유틸리티 쪽에서 관찰 중.
6) 미장에 대해서는 가치에 비해 급격히 하락한
가치주만 일부 구매.
'투자 > 투자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주차 투자일기 (1) | 2025.04.05 |
---|---|
3월 4주차 투자일기 (0) | 2025.03.27 |
3월 3주차 투자일기 (1) | 2025.03.19 |
3월 2주차 투자일기 (1)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