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투자 일기

3월 4주차 투자일기

by 경제노리 2025. 3. 27.
거시경제 현황 

 

<일본>

 

PMI 가 하회하였다.

일본 근원 cpi 2.2로 준수 

 

*PMI는 하회하였는데

근원 CPI는 준수하여

금리인하가 예상된다.

 

 

<유럽>

 

PMI가 비교적 준수하게 나왔다.

(예상치보다는 하회)

 

* 중간 평가적 성격이 조금 있었는데

PMI가 잘 나와 모멘텀 훼손 없이

투자 심리를 계속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미국> 

 

PMI 제조업 하회 서비스업 상회

 

소비자 심리지수는 7포인트가 떨어져 역대급 하락.

 

미국의 구리 관세 선조치 예고에 구리 가격은 폭등.

 

미국이 중국 80개 회사를 투자제한 회사로 추가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가 예측치에 비해

다소 낮은 모습으로 실물경제는 탄탄했다.

근원소비자물가도 예측치보다 낮아

오히려 전월에 비해 하락했다.

 

*전체적으로 미래전망은 안좋으나

현재 경제지표는 좋은 양상이 지속 되고 있다.

 

물가가 낮고 실업률도 낮아 

금리 인하와 약달러 예상해본다.

 

 

<한국>

 

CB 소비자신뢰지수 역대급 악화

한국 소비자 심리는 정체 혼조 악화

 

 

 
거시경제 의견
 
1)미국 리세션 공포
 
관세에 의한 인플레이션에 따라 가계 소비 우려에

트럼프의 정부재정 축소까지 겹쳐 리세션에 대한

약간의 공포가 존재한다.

 
2) 파월의 인플레이션은 일시적 관측
 
연 2회 금리인하 전망에 변동이 없음을 의미.
 fomc에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기 시작한데 대하여
부분적으로 관세의 영향이라고 생각한다는
과거연설의 공포를 일부 잠재워 주었다.
 

 

3) 틈새시장 공략하는 한국

 

미국의 조선 재건을 위해서는 한국 외에 마땅한 대안이 없고,
삼성전자를 대표로하는 D렘 업황도 밝아지고 있다.
(감산, 이구환신, 관세부과전 선 구매 등)

 

개인용 HBM (개인형 AI 슈퍼컴) 일명 소캠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가 삼성 sk와 접촉했다는 기사도 있다.

연말 양산까지도 가능할 수 있으리라 하는데

아직은 시기상조지만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는 있을 듯 싶다.

(기판 회사 심텍 티엘비 등도)

 
4) 금 시세 인상
금리인하기대와 트럼프상호 관세 여파로 금 시세는 오르고 있다.
 
5) 금리 예상의 난항
 
금리인하와 정책 불확실성이 장기금리 하락을 높이나
관세에 의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그 압력을 줄이고 있다.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이 장기금리 하락의 압력을 높일 것으로 전망.
 
6) 트럼프의 관세 정책
 
1기 에서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관세의 효과는
미국 전체 세수에 비하면 대단하지 않다.
트럼프가 원하는 것이 관세인지
이를 통한 협상인지 확인해 볼 차례.
 

 

7) 버핏의 일본 투자
 
2020년 이후 버핏은 일본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에 배팅했고
지금까지는 성공적이었다.

 

 
8) 유럽의 재무장 과 국채의 한계

 

 

유럽의 평화 배당금은 사실상 종말에 이르렀다.
약 380억 달러(560조원)에 달하는 액수를
미국의 국방에 의지하며 아꼈고
이를 사회복지에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트러픔 집권은 이를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이제 가능한 수단은 국채인데
대부분의 유럽국가(독일, 네덜란드 등 일부 제외)는
국채 추가 발행의 여력이 없다. 그렇다고 사회복지 축소도 어렵다.
 

 

 

9) 전기 재평가
 
전기의 시대(데이터 센터, 전기차)가 오면서
유틸리티 업체의 호황이 오고 있다.
(단기적으로 데이터 센터 이슈로 하락했었다.)
소비량은 24% 증가하는데 발전량은 3% 증가하고 있다.
특히 추후 3년 신흥국에서 이런 경향이 더 두드러질 것이다.(약 85% 추정)
데이터센터의 입지는 동남아가 꼽힌다. (저렴한 입지)
딥시크가 접근성을 높여 데이터 수요가 더 폭발할 수도 있다.
 
 

10) 일본의 금리

 

일본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긍정적으로 상승 중이다.
하지만 임금과 소비증가에 의한 선순환이 아닌
엔화약세와 높은 원자재 가격에 주도 되고 있는 점은 한계로 보인다.
당분간 일본의 금리 인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투자현황

 

 

1) 경제의 불안정과 금시세에 비해 

아직 저평가되어있는 금광 기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해볼 때

 

2) 일본의 금리인상과 엔화 절상에 대한

투자를 고려해볼 

 

3) 트럼프의 4/2 관세선포를 주의깊게 관찰하며

일부 자산의 현금화

 

 

 

 

 

 

'투자 > 투자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주차 투자일기  (1) 2025.04.05
3월 3주차 투자일기  (1) 2025.03.19
3월 2주차 투자일기  (1)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