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현황
<미국>
미국 근원 물가지수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증가폭을 올려 금리 인하 전망 하락.
미국 불황 가능성 상승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도 1%p 하락
미국 제조업 지수 - 하락세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낮고
연속실업수당청구건수는 최고.
이는 해고율의 상승 없이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
연성지표는 계속 안 좋아짐.
견성은 비교적 양호
(가장 최근 실업수당건수 증가는 위험)
상호관세로 현재 증시 괴멸상태
중국을 위시하여 보복관세
<일본>
일본 근원 물가는 지속 성장하며
견조함과 금리인하 가능성 상승
실업률2.4%로 안정
일본 서비스 pmi 전월비 하회 하였으나 예상치 상회
지표는 견조했으나
트럼프 상호관세 여파로 증시급락하며
금리인하 가능성은 상당히 저하
<유럽>
독일 서비스pmi 견조 종합 pmi 호조
유로 서비스 pmi 및 종합 pmi 호조
독일 실업자 수는 예상치보다 0.1%p 크게 상회.
유럽 인플레 실업률 견조 - 금리 인하 이상없음.
<중국>
중국 제조업지수 탄탄.
중국caixin 서비스 pmi, 견조
<한국>
한국 외환보유액 튼튼
한국은 전체적으로 부진.
탄핵선고 후 안정기원
<금>
안전자산 심리가 높지만
단기간 급락에 따른 증거금 마련을 위해
마진콜이 일어나 가격 하락.
거시경제 의견
1) 남부유럽은 재무장에 대하여 재정난 위기 호소.
유럽이 아닌 국가별로 핀셋 투자도 검토할 때.
2) 공매도 재개는 외국인 재유입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하반기 까지는공매도 잔고가
과거 수준인 10조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3) 미국경기 침체 우려.
과거를 다루는 경성지표는 비교적 견조.
미래를 다루는 연성지표는 불안.
심지어 경성지표도 조금씩 흔들림.
연성지표에 따라 침체가 오거나.
단순 조정이고 후반에는 다시 상승하거나.
4) 미국 경제 정책 시나리오 (마러라고 협정)
관세와 안보를 지렛대로 약달러를 유도하여
미국 제조업을 살리고,
동맹국에 비용을 전가하여 기축통화를
유지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
추가로 스테이블 코인의 활성화도 언급된다.
5) 미국 금리 및 환율
베센트를 비롯하여 관계자들 꾸준히 금리 인하를 발언.
미국의 10년채 금리 상승을 정부가 막겠다 (베센트 풋)
약 9조 달러의 국채 중 70%가 6월 안에 종료되니
주의깊게 보아야 할 상황.
투자 현황
1) 금, 엔, 국채 분산투자.
2) 현금 보유율 확보
3) 급락한 주식 관망하며 적절한 가격에 저점매수.
'투자 > 투자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3주차 투자 일기 (0) | 2025.04.18 |
---|---|
4월 2주차 투자일기 (1) | 2025.04.12 |
3월 4주차 투자일기 (0) | 2025.03.27 |
3월 3주차 투자일기 (1) | 2025.03.19 |
3월 2주차 투자일기 (1)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