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지표분석

금리 (장단기 금리, 기준금리, 실질금리)

by 경제노리 2025. 3. 26.

 

기준금리 및 적정 기준금리

 

< 기준금리의 정의 >

 

각 국가의 자금 조달 및 운용 시

기준이 되는 금리로

보통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일정 기간마다 결정합니다.

 

 

< 적정 기준금리 >

 

적정 기준금리는 성장률 갭+인플레 갭

+인플레 목표+자연이자율을 통해 정하며

 

적정 기준금리를 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테일러 룰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목표 + 가중치(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

+ 가중치(실제성장률  잠재성장률)

 

<연준의 경우>

 

연준의 경우 실업률3%와 인플레이션 2.5%를

목표로 삼아 금리를 정합니다.

 

이때 비농업 고용지표(실업률)가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매달 첫째 주 금요일에 발표)

 

연준에서는 주기적으로 FOMC를 개최하고

점도표를 발표합니다.

(FOMC 참가자들의 금리 전망치 중앙값)

 

 

 

 

실질금리 와 아웃풋 갭

 

실질금리 = 명목금리  인플레이션.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면 증시가 강세장이 됩니다.

 

증시가 한계가 되는 금리가 아웃풋 갭으로

경기 과열 바로미터의 역할을 맡습니다.

 

아웃풋 갭 = (실제 GDP  잠재 GDP)/ 잠재 GDP. 로

 

아웃풋 캡이 플러스로 전환되면

자산시장은 긴장하게 됩니다.

 

 

장단기 금리

 

 

1년이내가 단기금리. 1년이 넘으면 장기금리입니다.

단기일수록 기준금리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장기일수록 경기전망에 더 영향을 받습니다.

 

 

 

양적완화

 

양적완화는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했을 때 실시하는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금리 (장단기 금리, 기준금리, 실질금리)

포스팅을 마칩니다.

 

'경제지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결정 원인 및 결과  (0) 2025.04.02
경제 정보 (경제 신문) 읽는 법  (0) 2023.04.03
경제용어 설명  (2) 2023.03.26
경기순환과 향후 경기전망 지표  (0) 2023.03.05